도마뱀붙이 게코 먹이로 사용되는 귀뚜라미, 밀웜의 관리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도마뱀붙이 게코는 보통 “밀웜, 슈퍼밀웜, 귀뚜라미”를 먹이로 사용합니다. 귀뚜라미는 냄새, 소음, 외모로 인하여 밀웜을 주식으로 대처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귀뚜라미는 움직임이 활발하여 밀웜에 비해 먹이 반응이 좋습니다. 귀뚜라미는 저지방 고단백질의 먹이로 영양적 부분에서도 밀웜 보다 뛰어납니다. 슈퍼밀웜 > 밀웜 > 귀뚜라미 순으로 지방함량이 많이 높습니다. 밀웜을 거부하던 개체에게 귀뚜라미를 준다면 거식 개선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슈퍼밀웜을 주식으로 지속적으로 급여할 시 치우친 영양에 비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귀뚜라미나 밀웜도 함께 먹이시는 것이 생물의 건강에 더 좋은 영향을 줍니다.
귀뚜라미 사육방법
1. 바닥에 키친타월,신문지 등..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재를 깔아준다.
2. 계란판 혹은 신문지를 길게 찢어 은신처를 만들어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동족포식을 예방한다.
3. 원활한 환기로 비교적 건조하게 사육한다.
4. 동물성 먹이와 수분 공급을 원활해야 동족 포식을 막을 수 있다.
5. 수분이 많은 먹이는 남아있어도 3일 이내로 치워준다.
잡식성이기 때문에 야채를 주식으로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주식으로 밀기울이나 동물의 사료를 빻아서 주거나 밀웜, 멸치를 급여합니다. 참고사항, 바닥재로 밀기울을 깔아주기도 합니다. 야채는 당근(비타민A)을 추천 합니다. 먹이와 수분이 부족하면 귀뚜라미,계란판,종이 까지 먹습니다. 배송 온 스티로폼 박스에 그대로 방치한다면 스티로폼을 갉고 나올 확률이 큽니다. 귀뚜라미를 사육시 마릿수에 비례하여 넓은 공간에서 사육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사육이 가능합니다. 좁은 공간은 다른 귀뚜라미에게 공격을 당할 시 도망갈 공간이 없어 동족포식이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사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귀뚜라미용 사료, 감마루스(말린새우) 등 단백질 사료를 야채와 같이 급여하는 이유도 잡식성인 귀뚜라미의 동족포식을 예방하기 위함 입니다. 은신처로 계란판,휴지심,신무지 뭉치를 넣어주는 것도 동족포식을 예상 합니다. 야채는 애호박,상추, 당근, 무 등.. 영양소가 있고 수분기가 있는 것을 추천 합니다. 그 중에서도 비타민A가 풍부한 당근을 가장 추천합니다. 야채를 급여하면 영양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개체들 발색력도 높여 줍니다. 야채로 수분 보충을 하기 때문에 매일, 최소 2~3일에 1번은 수분있는 야채를 급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개체에게 급여 7시간 전이 골든 타임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밀폐환경에서 사육시 내부 습도로 인하여 악취와 잡벌레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망 작업을 해주거나 뚜껑을 없이 사육하여 환기가 원활하여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양파망을 이용해 탈출 방지와 환기가 원활하도록 사육중입니다. 망 작업을 하고 싶으신 분들은 못 쓰는 칼을 달궈서 플라스틱을 조금씩 잘라주시고, 자른 부분에 양파망이나 철망을 붙여 주시면 됩니다. 플라스틱을 자를시 연기도 나고, 냄새가 많이 납니다. 환기가 잘되는 장소에서 작업을 당부합니다. 귀뚜라미는 습기에 약하고, 따뜻할 수록 성장이 빠름니다. 성장 속도를 늦추고 싶으시다면 서늘한 곳에서 사육을 하시면 됩니다. 냉동고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는 동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밀웜, 슈퍼밀웜 사육방법
1.밀기율은 3~5cm 정도로 넉넉하게 해준다.
2.원활한 환기로 비교적 건조하게 사육한다.
3.수분이 많은 먹이는 남아있어도 3일 이내로 치워준다.
4. 1주일의 1번 채로 배설물과 탈피껍질, 죽은개체 등을 치워준다.
바닥재 이자 주식으로 밀기울, 엿기름을 급여합니다. 야채는 당근(비타민A)을 추천 합니다. 먹이와 수분이 부족하면 밀웜,계란판,종이 까지 먹습니다. 배송 온 스티로폼 박스에 그대로 방치한다면 스티로폼을 갉고 나올 확률이 큽니다. 무리지어 사는 곤충으로 동종포식이 잘 없지만 과밀한 사육은 먹이의 질을 떨어 뜨립니다. 귀뚜라미처럼 점프를 하지 않지만, 기어나올수 있기에 접시같이 너무 낮은 곳에서 사육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보통 리빙박스나 채집통, 안쓰는 반찬통 같은 곳에서 뚜껑없이도 사육이 가능합니다. 사육장의 크기에 적당한 마리 수를 사육하며, 환기와 습기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온도는 영하5℃ 이하, 35℃ 이상은 폐사율이 높다고 하니깐 주의 하기바랍니다. 밀웜에서 번데기가 되기 까지는 1~2달 정도 걸리며 번데기가 된 밀웜은 먹이 반응이 떨어지며, 성충(거저리)는 개체에게 급여할 수 없습니다. 번식 생각이 없으시면 개체에게 급여할 양 만큼만 구매해서 먹이시는게 좋은 방법입니다. 귀뚜라미와 마찬가지로 야채는 애호박,상추, 당근, 무 등 영양소가 있고 수분기가 있는 것을 추천 합니다. 그 중에서도 비타민A가 풍부한 당근을 가장 추천합니다. 야채를 급여하면 영양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개체들 발색력도 높여 줍니다. 야채로 수분 보충을 하기 때문에 2~3일에 1번은 수분있는 야채를 급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밀웜은 습기에 약하고, 따뜻할 수록 성장이 빠름니다. 성장 속도를 늦추고 싶으시다면 서늘한 곳에서 사육을 하시면 됩니다. 냉동고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는 동사의 위험이 있습니다. 먹이를 구매하고 관리하지 않은체 방치한 먹이를 급여한다면 개체 건강에도 좋지 못 합니다. 건강한 먹이를 급여하는 것도 건강한 개체를 키우는데 첫번째 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